Mock이란?
Mock은 한글로 “모의, 가짜의”라는 뜻으로 테스트할 때 필요한 실제 객체와 동일한 모의 객체를 만들어 테스트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Service
public class StudentService {
public Student getStudent() {
// DB에서 Student 테이블 조회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
}
}
위처럼 DB에서 Student 테이블을 읽어 Student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를 테스트하고 싶은데 매번 테스트할 때마다 DB를 읽어오는 것이 부하가 많이 걸리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면 번거로워 질 것이다. 그래서 Student를 DB에서 읽어오지 않고 가짜 객체 즉, mock을 만들어서 DB에 있는 테이블 접근을 최소화할 수 있다.
mock으로 객체를 만들면 테스트 시간을 줄이고, 불필요한 소비를 막고 객체의 행동까지 개발자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니 테스트할 때 매우 유익한 테스트 방법이다.
JetBrains이 발표한 2020년 통계에 따르면 유닛 테스트를 하는 자바 개발자 중 43%가 mockito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Mockito란?
mock을 쉽게 만들고 mock의 행동을 정하는 stubbing,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verify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주로 Stub이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Stub이란 메소드의 결과를 미리 지정하는 것이다.
Optional<User> user = Optional.of(User.builder()
.email("YD@naver.com")
.password("zzzz")
.build());
when(userRepository.findById(anyLong())).thenReturn(user);
userRepositoy.findById의 어떤 Long값이 들어가도 결과는 미리 선언한 user가 될 것이다.
Mockito를 사용하려면 테스트 클래스 위에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를 붙혀줘야 한다.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
Mock 생성
mock 생성 관련 어노테이션은 @Mock, @Spy, @InjectMock 등이 있다.
@Mock
@Mock으로 만든 mock 객체는 가짜 객체이며 그 안에 메소드 호출해서 사용하려면 반드시 스터빙(stubbing)을 해야 한다.
만약, 스터빙을 하지 않고 그냥 호출한다면 primitive type은 0, 참조형은 null을 반환한다.
User 도메인 생성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
@Entity
@Table(name = "users")
@Builder
@AllArgsConstructor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us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email;
private String password;
}
UserRepository 생성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Optional<User> findByEmail(String email);
Optional<User> findById(Long id);
}
UserService 생성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Optional<User> findUser(Long id) {
Optional<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id);
return user;
}
}
오직 userService만을 테스트
저장소에서 어떤 값이 나오는지 예측을 미리 하고 그 값이 나오면, UserService의 결과가 이것일 것이다.라는 형식의 테스트를 작성한다.
기본적으로 UserService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userRepository를 생성자 주입을 시켜줘야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셋팅을 해준다.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UserService userService;
@Mock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BeforeEach //test실행전 이것부터 실행
void setUp() {
this.userService = new UserService(userRepository);
}
우리는 userRepository의 값을 예측할 것이기 때문에, Mock의 대상자는 userRepository가 된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것이다.
- email은 YD@naver.com, 비밀번호는 zzzz인 유저를 만들고 - given
- 미리 만들어진 user가 저장소에서 나왔을 때 - when
- 저장소에서 나온 user은 userService의 findUser을 통해 user을 찾았을 때 그 값은 동일한가? -then
@Test
@DisplayName("mock_test")
void mock_test() {
//given
Optional<User> user = Optional.of(User.builder()
.email("YD@naver.com")
.password("zzzz")
.build());
//when
when(userRepository.findById(anyLong())).thenReturn(user);
//then
assertEquals(userService.findUser(1L).get(), user.get());
System.out.println(user.get().getEmail());
verify(userRepository,times(1)).findById(1L);
}
성공적으로 테스트 된 것을 볼 수 있다.
메소드 설명
when | stub을 하는 구문 예측할. 메소드를 지정. |
anyLong() | ‘어떠한 Long 값 이어도’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thenReturn | 메소드의 결과값을 임의로 정한다. |
verify | Mock 객체를 대상으로 검증한다. |
@InjectMocks
@InjectMocks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면 해당 클래스가 필요한 의존성과 맞는 Mock 객체들을 감지하여 해당 클래스의 객체가 만들어질 때 사용하여 객체를 만들고 해당 변수에 객체를 주입하게 된다.
이전과 다르게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UserService userService;
@Mock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BeforeEach //test실행전 이것부터 실행
void setUp() {
this.userService = new UserService(userRepository);
}
}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InjectMocks
UserService userService;
@Mock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의존성 주입을 하는 코드가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
@Spy
@Spy로 만든 mock 객체는 진짜 객체이며 메소드 실행 시 스터빙을 하지 않으면 기존 객체의 로직을 실행한 값을, 스터빙을 한경우엔 스터빙 값을 리턴한다.
@Service
public class SpyUserService {
public User getUser() {
return new User.UserBuilder()
.email("YD@naver.com")
.password("zzzz")
.build();
}
}
다음과 같이 SpyUserService를 만들고 Test를 하게 되면
@Spy
SpyUserService spyUserService;
@Test
void testSpy_스터빙X() {
User user = spyUserService.getUser();
assertEquals("YD@naver.com", user.getEmail());
}
@Test
void testSpy_스터빙O() {
User userDummy = User.builder()
.email("spy@naver.com")
.password("zzzz")
.build();
when(spyUserService.getUser()).thenReturn(userDummy);
User user = spyUserService.getUser();
assertEquals(userDummy.getEmail(), user.getEmail());
}
스터빙을 하지 않았을 때는 기존의 값이, 스터빙을 했을 땐 스터빙한 값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 Mockito, 그리고 Controller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해주는 MockMVC 등을 활용해서 하나의 서비스 또는 컨트롤러를 테스트하고 싶거나, DB를 실행해서 테스트하기 부담스러울 때, 아직 개발이 되지 않은 부분 (예를들어 repository는 개발이 안된 service)이 있다면 mock(가짜)를 활용해서 테스트를 하면 좋을 것 같다.
참고:
https://effortguy.tistory.com/142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O,DTO,VO 란? + DTO와 VO의 차이점, 다루는 이유 (2) | 2023.03.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