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팅클(Tincle)이라는 프로젝트에서 JWT를 통해 프론트와 소통을 했는데, 이 프로젝트는 친구기반 SNS 서비스입니다. 만약 사용하게 된다면 한번 접속할 때 '짧은 시간이 아닌 긴 시간동안 머무르지 않을까?' 판단했습니다. 때문에 토큰 재발급하는 횟수가 많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에 따른 시간 비용을 줄이고자 Redis로 RefreshToken을 관리한 경험을 얘기하려 합니다. 데이터베이스가 있는데 왜 Redis를 사용할까? Redis는 인메모리 캐시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Client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만약 DB에 존재하게 된다면 Disk 영역까지 가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반면 Redis에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면 Memory 영역에서 처리 후, 값을 반환하게 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