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

'TCP 3-way-handshake & 4-way-handshake'는 무엇일까? TCP란? TCP는 네트워크 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서비스이다. TCP 특징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오류 제어) 파일전송에 주로 사용 가상 회선을 만들어 신뢰성을 보장 ※ TCP가 가상회선 방식을 제공한다는 것은 발신지와 수신지를 연결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경로를 배정한다는 말이다. 3-way-handshake 연결하고자 하는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결 확인 방식으로, 3번의 확인 과정을 거친다고 해서 3 way handshake라고 부른다. TCP 3-way-handshake를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lient -> Server : 내 말 들려? Server -> .. 2023. 1. 13.
OSI 7계층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OSI 7계층이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계급, 상하구조가 존재한다. ex)물리적 회선 연결이 있어야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각 계층은 독립되어있다 따라서 용이성, 유지관리가 수월하다. 왜 7계층으로 나눌까?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부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OSI 7계층 나열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데이터 단위: 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 즉 On,Off 전기적 신호 상태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전달하기만 한다... 2023. 1. 6.
RISC-V 의 명령어들 속에 R-format RISC-V의 명령어 오늘은 RISC-V의 많은 형태중 R-format , 즉 R의 형태를 띈 예시를 알아 볼 예정이다. 우선 R-format의 명령어들의 종류는 ADD ex) add x5, x6, x7 // x5 = x6 + x7 SUB ex) sub x5, x6 ,x7 // x5 = x6 - x7 SLL - Shift left logical ex) sll x5, x6, x7 // x5 = x6 > x7 OR ex) or x5, x6, x7 // x5 = x6 | x7 AND ex) and x5, x6, x7 // x5 = x6 & x7 등이 있다. 이게 왜 R-format 인지 궁금한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다음에 소개할 I-format과 비교하면서 얘기할 예정이다. 우선은 이런 종류가 있다는 것만 .. 2022. 12. 27.
데이터베이스를 왜 사용할까? + 특성,구성요소,성능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기 이전에는 파일 시스템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관리하였다. (이는 현재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를 각각의 파일 단위로 저장하며 이러한 일들을 처리하기 위한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연동이 되어야 한다. 이 때의 문제점은 데이터 종속성 문제와 중복성, 데이터 무결성이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즉 사용하는 이유 데이터의 독립성 물리적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 사이즈를 늘리거나 성능 향상을 위해 데이터 파일을 늘리거나 새롭게 추가하더라도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논리적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인 구조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논리적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다. 데이터의 무결성 여러 경로를 통해 잘못된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를 방지하는 .. 2022. 12. 24.
이분 탐색의 원리 + 백준 1920 수 찾기 이분 탐색의 이분은 '둘로 나눈다'는 뜻이다. 탐색할 자료를 둘로 나누어 찾는 값이 있을 법한 곳만 탐색하기 때문에 자료를 하나하나 찾아야 하는 순차 탐색보다 원하는 자료를 훨씬 빨리 찾을 수 있다. 600page 책을 펼치는 과정으로 예시를 들면 1. 책 510쪽을 펴야한다고 가정. 2. 책의 중간쯤 펼쳐 300쪽이 나옴 3. 찾고자 하는 510은 300쪽보다 뒤에 있음. 따라서 300쪽 앞인 1~300쪽은 더 이상 찾을 필요가 없다. 4. 301~600 사이에 중간쯤을 또 펼쳐 450p가 나옴. 510은 더 뒤에 있음. 301~450 배제. 5. 이 과정을 반복하며 원하는 510쪽이 나오면 탐색을 멈춘다. 이렇게 하게되면 이분 탐색의 계산 복잡도는 O(logn)으로, 순차 탐색의 계산 복잡도인 O(n..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