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10 HTTP 요청 방식 - GET, POST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의 개념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으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웹 클라이언트(사용자)와 웹 서버(서비스 제공자) 사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HTTP를 통해 주고 받는 대표적인 파일은 HTML 문서파일이 있다. HTTP의 특징 - TCP/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이다. -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 - 요청/응답 (Request/Response) 방식으로 동작한다.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이 등장했다. 쿠키란?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보내어.. 2023. 1. 18. TCP / UDP 차이점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특징 연결형 서비스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회선방식을 사용한다. ex) 3-way-handshaking, 4-way-handshaking 자세한 내용은 위에 링크를 클릭해주길 바란다. 흐름제어 (Flow Control) 데이터의 처리속도를 제어한다. 이를 제어함으로써,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는 데에 있어 오버플로우 발생을 방지한다. segment 구조에서 receive window가 receiver가 얼만큼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혼잡제어 (Congestion Control) 네트워크 내에서의 데이터 양을 제어함으로써 통신의 혼잡/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전이중,점대점 방식 전이중 방식: 양방향으로 전송/.. 2023. 1. 16. 'TCP 3-way-handshake & 4-way-handshake'는 무엇일까? TCP란? TCP는 네트워크 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서비스이다. TCP 특징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오류 제어) 파일전송에 주로 사용 가상 회선을 만들어 신뢰성을 보장 ※ TCP가 가상회선 방식을 제공한다는 것은 발신지와 수신지를 연결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경로를 배정한다는 말이다. 3-way-handshake 연결하고자 하는 두 장치 간의 논리적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결 확인 방식으로, 3번의 확인 과정을 거친다고 해서 3 way handshake라고 부른다. TCP 3-way-handshake를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lient -> Server : 내 말 들려? Server -> .. 2023. 1. 13. OSI 7계층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OSI 7계층이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계급, 상하구조가 존재한다. ex)물리적 회선 연결이 있어야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각 계층은 독립되어있다 따라서 용이성, 유지관리가 수월하다. 왜 7계층으로 나눌까?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부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OSI 7계층 나열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데이터 단위: 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 즉 On,Off 전기적 신호 상태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전달하기만 한다... 2023. 1. 6. 이전 1 2 다음